안녕하십니까
연일 무더운 날씨에도 열공하시느라 수고가 많습니다
먼저 늦은 답변에 죄송하구요
와류손 공식
Pe=Ke(Kf*t*f*Bm)^2
여기서 Kf : 파형률, f: 주파수, Bm : 자속밀도
질의1에 대한 답변
1) 와류손은 주파수에 무관합니다(상세내용 :교재 p71참조)
이고, Bm은 자속에 반비례하므로
로 주파수에 무관
2) 와류손은 파형률(Kf)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파형률=실효치/평균치
정현파의 파형률은 그값이 1.1로 일정하지만 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의 파형률은
비선형정도에 따라 그값이 달라집니다
3) 와류손은 철심두께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규소강판을 얇게 적층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고조파에 의해 와류손이 증가했다는 의미는 고조파의 주파수의 영향보다는
파형의 비선형정도(파형의 왜곡상태),즉 파형률의 크기에 좌우된다고 볼수 있습니다
질의2에 대한 답변
1) 무부하손 : 무부하상태에서 변압기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면 1차측에 무부하전류(여자전류)가 흐르며 철심에 교번자속이 발생하는데 이로인한 손실입니다
여자전류=철손전류+자화전류
철손전류=히스테리시스전류+와전류
2) 와류손 : 무부하시 발생하는 손실로써 무부하상태에서 변압기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면
철심의 교번자계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기전력이 유기되고(이를 역기전력이라 함) 이로인해 1차권선에 와전류가 발생되는데 이것이 권선과 철심의 저항성분에 의해 주울열의 형태로 발생되는 손실입니다
이때 2차측권선에는 개방상태가 되어 이러한 와전류가 흐르지 못합니다
3) 부하손 : 2차측권선에 부하전류가 흘러 발생되는 손실
변압기 2차측에 부하를 걸면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비로소 2차측 권선에도 와전류가
철심을 통해 부하측으로 흐르는데 이를 와전류라 하지않고 부하전류라고 표현합니다
부하손은 이러한 부하전류에 의해 좌우됩니다
(부하손은 이러한 부하전류와 권선저항에 의한 동손이 그 대부분을 차지함)
결론적으로 와류손은 무부하손으로 부하손과는 관계가 없습니다.